건강,의학

‘침묵의 살인자’ 무증상 당뇨합병증을 잡아라… 학회 ‘주의 대상 1000만명’ 경고

샬렘하우스주방장 2016. 4. 21. 16:25

‘침묵의 살인자’ 무증상 당뇨합병증을 잡아라… 학회 ‘주의 대상 1000만명’ 경고

당뇨대란 현실화

입력 2015-11-30 17:52

‘침묵의 살인자’ 무증상 당뇨합병증을 잡아라… 학회 ‘주의 대상 1000만명’ 경고 기사의 사진
당뇨를 장기간 앓게 되면 심뇌혈관은 물론 눈과 콩팥, 신경계 등 주요 장기에 합병증이 생기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사진은 뇌졸중 합병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초음파로 경동맥 상태를 검사하는 모습. 아래쪽은 자가 혈당측정 검사 광경. 경희대병원 제공

2008년 11월 건강검진 중 우연히 알게 된 고혈당으로 처음 병원을 찾은 김모(51)씨. 의사가 스스로 혈당을 관리하고 당뇨망막증 등 합병증 치료도 받으라고 했지만 김씨는 한 달 만에 치료를 그만두었다. 일상생활 중 큰 불편함이 없고 통원 치료가 번거롭다는 이유에서다.

그로부터 꼭 7년이 지난 현재, 그는 극심한 고혈당으로 내분비내과를 다시 다니는 중이다. 검사결과 공복혈당 수치가 300㎎/㎗이 넘고 당화혈색소 비중도 13.6%로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8시간 이상 공복 상태에서 측정한 혈당수치가 100㎎/㎗이 넘으면 비정상(공복혈당장애)으로 간주된다. 당분을 많이 함유, 혈액이 끈적끈적해지는 정도를 말하는 당화혈색소 수치는 6% 미만이 정상이다.

당뇨합병증으로 눈이 멀고 치명적인 심·뇌혈관질환과 콩팥 질환을 합병, 생명의 위협을 받는 사람들이 계속 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대한당뇨병학회는 최근 발표한 ‘2015 한국인의 당뇨병 연구보고서’를 통해 국내 당뇨 환자 수가 2014년 기준 320만 명으로 추산되고 당뇨 전 단계로 불리는 공복혈당장애자도 650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장차 치명적인 당뇨합병증을 경계해야 될 계층이 무려 1000만 명이나 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고다. 의료계가 급속한 식생활의 서구화와 더불어 우려해온 ‘당뇨대란’의 재앙이 현실화 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당뇨병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이어 한국인 사망원인 4위에 올라있다. 10여 년 전 10위권에서 수직상승한 것인데, 지난 한 해만도 1만1242명이 당뇨합병증으로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당뇨망막증에 의한 실명원인 1위, 교통사고를 제외한 족부절단 위험 1위, 신장이식을 필요로 하는 만성신부전 유발 위험 1위라는 불명예가 붙어있기도 하다.

우리가 섭취한 음식은 소화과정을 거쳐 핏속의 혈당으로 전환돼 조직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혈액 속에 과잉으로 남아있는 고(高)혈당은 일종의 가시돌기 역할을 한다. 피돌기를 따라 전신을 돌며 혈관내벽을 갉아먹고 장기조직에도 위해를 가한다. 말초신경도 손상시킨다.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전숙 교수는 “발가락 괴사부터 머릿속의 뇌졸중까지, 또 심장부터 신장까지 우리 몸 구석구석을 소리 없이 해칠 수 있는 침묵의 살인자가 바로 당뇨병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당뇨 환자 중 38%는 아직도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고 있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당뇨 합병증에는 혈당의 급격한 변화로 생명과 직결되는 급성 합병증과 장기간 고혈당 상태로 발생하는 만성 합병증이 있다. 대표적으로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심장혈관질환, 중풍과 같은 뇌혈관질환, 망막증, 신장병, 신경병증 등이 꼽힌다.

당뇨 합병증은 일단 발생하면 완치가 쉽지 않다. 따라서 예방이 최선이다.

당뇨 합병증 발생을 막거나 지연시키기 위해선 무엇보다 약물, 식사, 운동 등 3대 치료법을 통한 철저한 혈당조절 및 관리가 중요하다. 고혈압, 고지혈증 등 혈관질환도 적극 관리해야 한다. 철저한 금연생활도 요구된다.

더불어 평소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 관상동맥질환과 눈, 콩팥, 신경계 등에 이상이 없는지 선별검사를 받는 게 좋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교수는 “초기엔 대부분 큰 이상을 못 느끼기 때문에 혈당관리를 소홀히 하기 쉽다”며 “그러나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당뇨 합병증 발생을 막는 길은 조기발견 및 정기검사를 통한 철저한 혈당관리뿐이라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